회사가 성장하면 따라오는 숙제가 있습니다. 바로 사무실 이사인데요. 같이 일하는 동료가 늘어나며 그들이 쾌적하게 업무할 수 있는 환경도 함께 제공해야 하기 때문이죠.
‘이사? 그냥 매물 알아보면 되는 거 아냐?’라는 생각을 하실 수도 있지만, 그 뒤에는 다양한 서류 작업들이 필요합니다. 그 중 대표적인 것이 법인 사업장 주소 변경이에요. 특히 이사를 했음에도 2주 내로 해당 절차가 진행되지 않을 경우, 과태료가 발생합니다
때문에 사무실 이사를 생각 중이라면, 고르는 과정과 동시에 서류 작업을 준비해야 하죠. 이번 글에서는 법인 사업장 주소 변경에 필요한 절차, 서류, 비용에 대해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법인 사업장 주소 변경 절차
해당 서류 작업에 있어 가장 크게 적용되는 점은 관내 이전과 관외 이전입니다. 즉, 같은 관할 내 이사이냐 아니냐에 따라 절차부터 필요 서류가 달라져요.
관할 내 이사의 경우, 해당 관할 등기소에 신청 한 번으로 완료할 수 있지만, 그 외의 경우 추가적인 작업이 필요합니다.
관내 이전 절차
주소 변경 결의 → 등기소 접수 → 사업자 등록 정정
관내 이전의 경우, 이사회 결의로 법인 주소를 이전할 수 있어요. 다만 자본금이 10억 미만인 법인이고 이사회가 따로 존재하지 않다면, 대표이사의 본점 이전 결의서로 이사회 의사록을 대신할 수 있어요.
결의가 끝난 후부터는 필요 서류를 준비해서 관할 등기소 혹은 인터넷 등기소에 변경 등기를 신청해야 합니다. 이때 통상적으로 약 5~7일의 시간이 소요돼요. 변경 등기가 완료되면 관할 세무서 혹은 홈택스를 통해 사업자 등록 정정 신고가 필요합니다.
관외 이전 절차
주주 총회에서 정관 변경 → 이사회 결의 → 등기소 접수 → 사업자 등록 정정
다른 도시로 이사하는 관외 이전의 경우, 법인 등기부 등본과 정관을 변경해야 합니다. 주주 총회에서 법인 정관을 변경하고, 이사회에서 해당 사항을 결의합니다. 관외 이전도 자본금 10억 미만의 법인일 경우, 주주 전원의 서면 결의서로 대체할 수 있죠.
또한 등기소 접수의 경우 관외 이전은 관할 등기소에서 변경 등기를 진행 후, 이사 간 지역의 관할 등기소에서 변경 등기를 한 번 더 진행해야 합니다.
법인 사업장 주소 변경 필요 서류
필요 서류는 관내 이전인지 관외 이전인지, 또 이사가 2인 이하인지 3인 이상인지에 따라 다릅니다. 그럼에도 공통적으로 필요한 서류가 있는데요. 이전 등기에 있어 공통 서류는 하기와 같습니다.
본점 이전 신청서
정관
법인 인감도장 및 법인 인감 증명서
서류를 준비할 때, 이사의 수에 따라 의사록과 이에 대한 공증이 필요하기도 합니다.
관내 / 관외 이전 필요 서류
이사 2인 이하 | 이사 3인 이상 | |
관내 이전 |
|
|
관외 이전 |
|
|
법인 사업장 주소 변경 비용
비용도 마찬가지로 관내 이전, 관외 이전에 따라 달라집니다. 다만 관외 이전의 경우, 과밀지역 혹은 비과밀지역으로 이전하냐에 따라 추가적인 세금 혜택이 있으니 유의 부탁 드립니다.
관내 이전 | 관외 이전 | |
신본점 |
|
|
구본점 |
|
해당 비용은 전자 동기 기준이며, 추가 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회사의 성장에 따른 새로운 사무실 이전엔 이처럼 다양한 서류 작업은 물론, 우리 회사에 최적화된 사무실을 구하는 등 많은 공수가 필요합니다.
사무실 구하기는 오피스B와 함께하는 것은 어떨까요? 스파크플러스가 만든 단독 사무실로 50인 이하 기업들에게 ‘좋은 사무실’ 경험을 제공합니다. 역세권 위치의 신축 건물에 풀옵션 인테리어는 물론, 고급 사무실 관리 서비스를 제공해 드리고 있죠. 쉽고 빠른 역세권 사무실을 구할 수 있어 부담을 줄일 수 있을 거에요.
오피스B와 상담해보세요